『하늘의 법, 땅의 법』 제4장: 고요의 법 — 모든 것을 지나온 자에게


『하늘의 법, 땅의 법』


제4장 – 고요의 법: 모든 것을 지나온 자에게



1. 고요는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진실을 담고 있다.


하늘은 흐르고,

땅은 견디고,

인간은 울며 선택하지만—

그 모든 길이 끝난 뒤,

그 모든 갈망이 사라진 후

고요가 온다.


고요는 없다가 오는 것이 아니다.

항상 있었으나,

우리가 시끄러워서 듣지 못했던 것일 뿐이다.


고요는 도달이 아니라,

되돌아감이다.

가장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일이다.



2. 고요는 정답이 아니다. 존재다.


인간은 묻는다.

하늘은 가리킨다.

땅은 안아준다.

그러나 고요는 대답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고요는 정답이 아니라,

그 모든 물음이 사라지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고요 속에서는

옳고 그름도,

성공과 실패도,

더 나음과 덜 나음도

모두 멈춘다.


그 멈춤 안에

모든 방향이 동시에 열려 있다.



3. 고요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의 끝에서 나온다.


고요는 자아의 파도가 멈추는 곳에서 피어난다.


나는 누구인가?

왜 아픈가?

무엇이 나를 여기에 데려왔는가?


그 모든 질문을 통과하고,

그 질문조차 흐릿해질 때—

그때 고요가 나를 찾아온다.


내가 고요를 찾는 것이 아니라,

고요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4. 고요는 도망이 아니다. 감당이다.


고요는 외면이 아니다.

모른 척하는 것도 아니다.


고요는 모든 것을 본 자의 상태다.

사랑도, 증오도,

상처도, 회복도

다 통과한 자만이

고요하게 될 수 있다.


고요는 무관심이 아니라

지나온 것에 대한 가장 깊은 사랑의 형태다.



5. 고요는 시작이다. 끝이 아니다.


많은 이들은 고요를

‘도달’ 혹은 ‘종착점’으로 여긴다.

하지만 아니다.


고요는 진짜 삶이 시작되는 자리다.

   •   더 이상 누구도 설득하지 않아도 되는 자유

   •   더 이상 인정받을 필요가 없는 평화

   •   더 이상 갈 길이 없어도 흔들리지 않는 중심


이것이 고요다.

그리고 그 고요 속에서

삶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된다.



마지막 문장


나는 하늘을 흘렀고,

땅을 견뎠고,

인간으로 아팠다.

그 모든 파동이 멈추었을 때

나는 고요를 만났다.


그 고요는 말이 없었다.

그러나 그 고요 안에서,

나는 처음으로

모든 질문 없이 존재할 수 있었다.



이로써 『하늘의 법, 땅의 법』은

4부 구성의 완결된 골격을 갖추었습니다:

1. 하늘의 법 – 흐름과 직관

2. 땅의 법 – 견딤과 품음

3. 인간의 법 – 선택과 울음

4. 고요의 법 – 침묵과 귀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 📝 《나는 돈이 싫은 게 아니다. 다만, 천박한 세계가 싫다》 **2편. 돈은 필요하지만, 자랑할 일은 아니다**

## 📘 《누가 우리의 국가를 지배하는가》 시리즈 **제2편 – 스파이, 내부에서 무너지는 나라**

📌 유비 더원의 세계로 오신 걸 환영합니다 - 전체 채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