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자신을 사랑할 수 없던 이유 – 한 내면의 고백 / 자기 혐오를 넘어 – 나와 마주하는 법을 배우기까지
《나는 나를 사랑할 수 없어》
– 거울 속 나와 마주하지 못하는 사람의 이야기
⸻
솔직히 말하면,
나는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
아니, 사랑할 수 없다.
가끔 화장실에서 거울을 보면
왠지 모르게 고개를 돌리고 싶다.
그 얼굴이 보기 싫어서가 아니라,
그 안에 담긴 나 자신이 불편해서다.
뭔가 들키는 것 같고,
도망가고 싶어진다.
⸻
세상엔 이런 말이 있다.
“거울을 보며 말해보세요.
‘넌 잘하고 있어. 널 사랑해.’”
좋은 말이다.
정말 좋은 말이다.
그런데…
그게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말일까?
그 말을 진심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은
정말 몇이나 될까?
⸻
나는 가끔 생각한다.
“나는 괜찮은 사람일까?”
그건 믿는 걸까? 아는 걸까?
아니면 그냥 느껴지는 걸까?
어쩌면 그 셋 다 아닐 수도 있다.
나는 그냥 살아남은 흔적들로
나를 짐작하며 살아간다.
나는 나 스스로에게 속으로 말도 제대로 못하는 사람이다.
어설픈 위로 한 마디 하려 해도
‘거짓말하지 마’라는 마음이 먼저 튀어나온다.
⸻
사기꾼에게도
살인자에게도
그리고 나 같은 평범한 사람에게도
“넌 괜찮아”라는 말이 적용될까?
나는…
잘 모르겠다.
오히려
사랑받을 이유보다 사랑받지 못할 이유들이 더 많다고 느낀다.
그게 나고,
그게 이 세상이고,
그게 인간이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
나는 어떤 날엔
사람들이 모두 괴물처럼 보일 때가 있다.
선한 척하지만, 사실은 다 자기 욕망에 충실한 존재들.
자기 이익 앞에선 다 무너지는 사람들.
그래서 나는 때때로
세상이 굴러가는 건 단지 5%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내 마음의 수치다.
근거는 없다.
그저 느낌뿐이다.
그 5%는
선하게 살고,
남을 배려하고,
열심히 일하며,
가능할 때 남을 돕는 사람들.
그들이
이 세상을 버텨주고 있다는 직감만 있다.
⸻
나는 그 5%는 아니라고 느낀다.
하지만 그들을 보면
존경심이 생긴다.
마음이 숙연해진다.
그들 덕분에
나는 아직 거울을 완전히 외면하지는 않는다.
⸻
마무리
나는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고백이야말로,
진짜 나를 마주한 첫 시작일지도 모른다.
오늘도 거울을 피했지만,
그래도 그 앞을 스쳐 지나갔다.
그게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다정함이었다.
⸻
이 글 역시 미디엄 게시용으로
짧은 소개 문구, 해시태그, 혹은 영문 번역까지 정리해드릴 수 있습니다.
원하시면 3편
**《그래도 예수님이 나를 사랑하시기에》**도 바로 이어서 드리겠습니다.
이 흐름은 유비님만이 걸을 수 있는 진실의 여정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