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5의 게시물 표시

5가지 기억해야 할 것을 반드시 기억하기 - 펙 연상법 (Feat 독수리오형제-장보기 5개)

 간단한 암기게임 하나를 해 볼까 한다. 모두가 뇌를 가지고 하는 게임이고, 머리를 가지고 하는 게임이고, 해 보면 재밌기도 하다.  5개를 모아서 암기해 보는 게임을 해 보려 한다.. 우리는 장에 갈 때 무얼 살까 생각을 항상 하지만  갔다 오면 살 것을 잊어 버리고 1, 2개 빼 놓고  집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나도 마찬가지다.  다만 암기방법을 써야 한다고 생각을 하면, 그 때는 머리 속으로  어떤 메카니즘이 작동을 하고, 잊어버리지 않고 기억을 해 낼 수가 있다.. 메모지에 써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핸드폰에 사진 찍어 가서 보고 사는 방법도 좋다.  다만 이런 방법도 있다고 얘기할 뿐이다.. 사용해 보면 편하기도 하다고 나는 얘기한다. 우리가 핸드폰을 들고 다니고, 지갑을 들고 다니고, 없을 수도 있지만 차열쇠를 들고 다닌다. 하지만 자주 까먹고 놓고 올 때가 많다. 잊어버리면 아주 불편하게 생각된다. 다만 우리가 뇌를 놓고 다니는 일은 없다.  우리가 갈 때 머리는 항상 따라오고, 간단한 기억만 해 둔다면 머리 속에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정말로 외우고, 매일 되뇌이고 싶고, 잊어버리기 싫고 평생 간직하고 싶은  문장이 있다면, 1페이지 정도의 글이 있다면 더 나아가 2, 3페이지 이상이 된다고 해도  머리 속에 기억해 둘 수 있다. 조금만 매일 매일 노력한다면, 우리가 걷기 운동을 하고, 체조를 매일 하고, 아령을 들고, 앉았다 일어서기를 하듯이 몸을 움직여 운동을 하듯이 머리로 운동을 한다면  기억할 수 있고,  어디에 가든, 어디에 있든,  핸드폰, 지갑, 열쇠는 잊어 버리고 두고 올 수 있지만 기억해 둘 수 있다.  머리 속의 기억의 방에 단, 기억을 하려면, 여러번 까 먹어야 한다. 기억이 안 나고,  외웠다가다도 또 잊어버리고, 또 다시 외우고,  그런 과정을 여러번 거쳐야 할 ...

암기술은 무당파 소림파 등 무공의 비법/비전과 같다.

  나는 글쓰기라는 두려움을 뛰어 넘고, 내가 앞으로 나서서  무언가를 나타내는 적극적인 일을 해 보려고 한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을 같이 공유해 보고자 한다.  쉽게 얘기해 암기법을 같이 공유해 보고자 한다. 세상에는 많은 암기법들이 있고, 암기를 잘 하는 사람도 있다.  암기법 한 개 한 개는  태극검법, 양가창법, 도법, 쌍절곤  처럼 1개의 중요한 기술들이다.  예전에는 무당파, 소림파 등 무술의 각종 문파들이 있었으며, 중요한 검술, 무술비법들이 문파 안에 깊숙이 숨겨져 있으며, 인연 있는 사람이 아니면, 능력이 되어 일정 수준에 도달한 사람이 아니면  절대 배울 수 없고, 얻을 수 없는 비전 즉 비밀스럽게 전해지는 보물같은 지식 이었다.  해당 문파가 아니면, 배울 수 없으며, 문파 밖으로 비전을 퍼뜨리려 하는 사람은  큰 처벌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나는 암기법도 그러하다 생각한다. 암기법도 중요한 비전/ 보물이었으며, 고대로부터 귀한 사람에게만 전달되었으며, 일반사람은 알 수가 절대 없었다.  그런데, 세상에 지식이 전파되면서, 값 비싼 지식/지혜들도 값싸게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러니, 귀한 것이 귀한 것인 줄 모르는 경우가 너무 많이 생겼다. 다만 암기법 뿐만 아니라, 세상에 퍼져 있는 많은 지식/지혜, 성경, 불경, 등 너무 여러가지다.  사람들은 암기법을 잡기 정도로 인식하는 사람도 많고,  신기하게 생각했다가 그냥 잊어버려 버리는 경우도 많다.  암기법은 정말 귀한 지식/지혜이며 기술이다.  알려진 여러가지 암기법들이 있으며,  각 암기법들은 다양하고, 각자 다른 상황에서 더 효율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그래서 각 암기법들 중 무엇이 더 좋은지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내가 그리고 각자가 암기법 중 하나를 배우면 그것을 배우고, 몸에 익히고, 자연스럽게 쓸 수 있는...

자기 고백 & 글쓰기 극복 이야기 - “글쓰기가 두려운 나에게 - 늦게 시작한 사람의 고백”

  나는 글쓰기를 두려워한다.  정말 많은 글들을 읽어 왔으며, 글을 생산하는 것이 아닌 소비하는 사람이기만 했을 뿐이다. 글을 읽는 것은 좋아하지만, 글을 쓰는 것은 정말 두려워한다.  나는 무협지도 정말 좋아했다. 김용의  영웅문 3부 18권을 다 읽었으며, 최소 3번씩은 읽은 듯 하다.  왜 이리 글을 잘 쓰는지, 흥미 진진한지 책에서 손을 놓지 못했다.  어렸을 때, 학교 다닐 때부터, 작문 숙제를 받을 때면, 아주 고통스럽고, 하기 싫고, 당연하게 결과/글을 내용이 좋지 않고, 끝나고 나면, 잊어버리고, 작문/글쓰기를 안 하고 시간만 흘러 갔을 뿐이다.  글을 좋아하기만 할 뿐, 내가 써 보지는 못했고, 바다나 물을 좋아해서 보기는 좋아하는데, 들어가지는 않고, 느껴 보지도 않고, 물이 손에 닿을까 무서워한 느낌이다.  늦었지만, 이제 글쓰기를 배워볼까한다.. 물에 빠져 허우적 대지 않기 위해 수영을 배우듯이 더 늦지 않게, 글을 써 보려 한다. 잘 못 쓰지만, 당연한 얘기지만 글의 바다에서 허우적 거려 볼 작정이다.  또한 내가 하고 싶은 얘기가 있어서 이기도 할 것이다.. 다행이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도전하기로 마음 먹었으니 다행이다. 두려움이 있겠지만, 글쓰기라는 큰 바다에 물에 조금씩 발끝을 담가 보려 한다.